[Flutter] 이미지 로딩 최적화 – CachedNetworkImage 사용법
·
프로그래밍/Flutter
[Flutter] 이미지 로딩 최적화 – CachedNetworkImage 사용법Flutter에서 Image.network()만 사용하면 이미지가 스크롤할 때마다 재요청되거나 깜빡거림(플리커링)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럴 땐 CachedNetworkImage를 사용하면 이미지를 로컬에 캐싱해서 불필요한 재로딩을 줄일 수 있어 성능이 훨씬 좋아집니다.✅ 1. CachedNetworkImage란?cached_network_image는 이미지를 다운로드한 뒤 로컬에 캐싱해서 다음번에 같은 URL을 요청할 때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고 빠르게 표시해주는 라이브러리입니다.✅ 2. 설치 방법# pubspec.yamldependencies: cached_network_image: ^3.3.1flutter ..
[Flutter] 상태관리 뭐 써야 할까? Provider vs Riverpod vs BLoC 비교
·
프로그래밍/Flutter
[Flutter] 상태관리 뭐 써야 할까? Provider vs Riverpod vs BLoC 비교Flutter로 앱을 개발하다 보면 상태관리에 대해 반드시 고민하게 됩니다.처음에는 setState()로 간단히 처리하지만, 규모가 커지면 전역 상태 관리, 비동기 처리, 모듈화가 필요해지죠.이 글에서는 대표적인 Flutter 상태관리 방식인 Provider, Riverpod, BLoC을 비교하고 언제 어떤 걸 선택하면 좋은지도 함께 정리해드립니다.✅ 1. Provider – 공식이 인정한 기본 상태관리provider는 Google에서 만든 공식 추천 패키지입니다.간단한 구조 + 낮은 학습 난이도로 입문자가 쓰기 좋습니다.// provider 예제: ChangeNotifier 사용class Counter..
[TypeScript] 제네릭(Generic) 기초부터 실무까지 정리
·
프로그래밍/typescript
[TypeScript] 제네릭(Generic) 기초부터 실무까지 정리TypeScript의 제네릭(Generic)은 코드의 유연성과 재사용성을 높여주는 강력한 기능입니다.함수, 클래스, 인터페이스에서 다양한 타입을 다뤄야 할 때, 제네릭을 사용하면 코드 중복 없이 타입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제네릭의 기초 문법부터, 실무에서 자주 쓰이는 활용 예제까지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제네릭이란?제네릭은 타입을 고정하지 않고, 사용할 때 지정할 수 있게 만드는 기능입니다.기본 문법은 를 사용하는 형태입니다.// 제네릭 함수 예시function identity(value: T): T { return value;}// 사용 예identity("hello"); // "hello"identity(123)..
[HTML] 특수 문자( , <, ©) 정리 – HTML Entities 모음
·
프로그래밍/Html
[HTML] 특수 문자( , HTML에서 특수 문자(HTML Entities)는 코드 상으로 직접 입력이 불가능하거나, 입력 시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문자를 &코드; 형태로 작성하는 방식입니다.예를 들어, 는 “작다(©는 저작권 표시인 “©”로 표시됩니다.이 글에서는 자주 사용되는 특수 문자와 엔티티 코드를 정리해드릴게요.✅ 기본 특수 문자 모음 문자 Entity 코드 의미 & & 앰퍼샌드 (&) 작다 ( > > 크다 (>) " " 큰따옴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