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utter] CachedNetworkImage 캐시 초기화 / 수동 리프레시 방법
·
프로그래밍/Flutter
[Flutter] CachedNetworkImage 캐시 초기화 / 수동 리프레시 방법CachedNetworkImage는 네트워크 이미지를 로컬에 저장(캐시)해두고 다음에 같은 URL을 불러오면 빠르게 보여주는 Flutter 이미지 최적화 패키지입니다.하지만 가끔은 이미지 캐시를 초기화하거나 강제로 새로고침(refresh)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캐시 초기화 & 수동 리프레시 방법을 소개합니다.✅ 1. 캐시 전체 초기화 (비우기)전체 이미지 캐시를 비우고 싶을 땐 DefaultCacheManager의 emptyCache()를 사용합니다.import 'package:flutter_cache_manager/flutter_cache_manager.dart';await De..
[Flutter] 이미지 로딩 최적화 – CachedNetworkImage 사용법
·
프로그래밍/Flutter
[Flutter] 이미지 로딩 최적화 – CachedNetworkImage 사용법Flutter에서 Image.network()만 사용하면 이미지가 스크롤할 때마다 재요청되거나 깜빡거림(플리커링)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럴 땐 CachedNetworkImage를 사용하면 이미지를 로컬에 캐싱해서 불필요한 재로딩을 줄일 수 있어 성능이 훨씬 좋아집니다.✅ 1. CachedNetworkImage란?cached_network_image는 이미지를 다운로드한 뒤 로컬에 캐싱해서 다음번에 같은 URL을 요청할 때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고 빠르게 표시해주는 라이브러리입니다.✅ 2. 설치 방법# pubspec.yamldependencies: cached_network_image: ^3.3.1flutter ..
[Flutter] 상태관리 뭐 써야 할까? Provider vs Riverpod vs BLoC 비교
·
프로그래밍/Flutter
[Flutter] 상태관리 뭐 써야 할까? Provider vs Riverpod vs BLoC 비교Flutter로 앱을 개발하다 보면 상태관리에 대해 반드시 고민하게 됩니다.처음에는 setState()로 간단히 처리하지만, 규모가 커지면 전역 상태 관리, 비동기 처리, 모듈화가 필요해지죠.이 글에서는 대표적인 Flutter 상태관리 방식인 Provider, Riverpod, BLoC을 비교하고 언제 어떤 걸 선택하면 좋은지도 함께 정리해드립니다.✅ 1. Provider – 공식이 인정한 기본 상태관리provider는 Google에서 만든 공식 추천 패키지입니다.간단한 구조 + 낮은 학습 난이도로 입문자가 쓰기 좋습니다.// provider 예제: ChangeNotifier 사용class Counter..
[Flutter] Building with plugins requires symlink support
·
프로그래밍/Flutter
codelab 플러터 소스를 Clone하고 구동시 오류가 발생Launching lib\main.dart on Windows in debug mode...Error: Building with plugins requires symlink support.Please enable Developer Mode in your system settings. Run  start ms-settings:developersto open settings.Exited (1). 해결법개발자 설정 > 개발자 모드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