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utter] 상태관리 뭐 써야 할까? Provider vs Riverpod vs BLoC 비교

2025. 3. 25. 19:38·프로그래밍/Flutter

[Flutter] 상태관리 뭐 써야 할까? Provider vs Riverpod vs BLoC 비교

Flutter로 앱을 개발하다 보면 상태관리에 대해 반드시 고민하게 됩니다.
처음에는 setState()로 간단히 처리하지만, 규모가 커지면 전역 상태 관리, 비동기 처리, 모듈화가 필요해지죠.

이 글에서는 대표적인 Flutter 상태관리 방식인 Provider, Riverpod, BLoC을 비교하고 언제 어떤 걸 선택하면 좋은지도 함께 정리해드립니다.


✅ 1. Provider – 공식이 인정한 기본 상태관리

provider는 Google에서 만든 공식 추천 패키지입니다.
간단한 구조 + 낮은 학습 난이도로 입문자가 쓰기 좋습니다.


// provider 예제: ChangeNotifier 사용
class Counter extends ChangeNotifier {
  int value = 0;
  void increment() {
    value++;
    notifyListeners();
  }
}

// 사용
ChangeNotifierProvider(
  create: (_) => Counter(),
  child: Consumer<Counter>(
    builder: (_, counter, __) => Text('${counter.value}'),
  ),
)

→ 위 구조는 단순한 로직에서는 충분히 강력합니다.


✅ 2. Riverpod – Provider의 진화형

riverpod은 Provider의 단점을 개선한 최신 상태관리 방식입니다.
전역 사용 가능, BuildContext 없이도 접근 가능, 더 강력한 타입 안전성이 특징입니다.


// Riverpod 예제 (flutter_riverpod)
final counterProvider = StateProvider((ref) => 0);

// 사용
Consumer(
  builder: (context, ref, _) {
    final count = ref.watch(counterProvider);
    return Text('$count');
  },
);

→ 모듈화, 테스트, 리팩토링에 강한 구조를 원한다면 Riverpod이 더 적합합니다.


✅ 3. BLoC – 복잡한 앱에 강한 구조화된 방식

bloc은 이벤트 기반의 구조로 동작하며, Stream과 Sink를 이용해 데이터 흐름을 제어합니다.
기업용 앱, 복잡한 상태 변화가 많은 앱에 적합합니다.


class CounterBloc extends Bloc<CounterEvent, int> {
  CounterBloc() : super(0) {
    on<Increment>((event, emit) => emit(state + 1));
  }
}

// UI에서 Bloc 사용
BlocBuilder<CounterBloc, int>(
  builder: (context, state) {
    return Text('$state');
  },
);

→ 구조가 무겁지만 대규모 협업, 테스트 자동화에 유리합니다.


📊 상태관리 방식 비교 요약

방식 장점 단점 추천 대상
Provider 간단하고 익히기 쉬움 대규모 앱에서는 관리 어려움 입문자, 간단한 앱
Riverpod 모듈화, 테스트 용이, 타입 안전 학습 곡선 약간 있음 중급 이상, 장기 운영 앱
BLoC 명확한 이벤트 흐름, 테스트 강점 초기 셋업 복잡 대규모 앱, 협업

📌 마무리

Flutter 상태관리는 앱 규모, 개발자 경험, 유지보수 계획에 따라 선택해야 합니다.
처음에는 Provider → 점점 Riverpod or BLoC으로 옮겨가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실무에서 가장 많이 쓰는 조합은 Riverpod + Freezed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댓글 부탁드립니다 😊

반응형
저작자표시 비영리 (새창열림)

'프로그래밍 > Flu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utter] CachedNetworkImage 캐시 초기화 / 수동 리프레시 방법  (0) 2025.03.25
[Flutter] 이미지 로딩 최적화 – CachedNetworkImage 사용법  (0) 2025.03.25
[Flutter] Building with plugins requires symlink support  (0) 2024.07.02
Android Studio AVD GL error 0x502  (2) 2024.06.07
'프로그래밍/Flu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 [Flutter] CachedNetworkImage 캐시 초기화 / 수동 리프레시 방법
  • [Flutter] 이미지 로딩 최적화 – CachedNetworkImage 사용법
  • [Flutter] Building with plugins requires symlink support
  • Android Studio AVD GL error 0x502
큐레이트
큐레이트
저의 일상을 기록하는 블로그입니다.
  • 큐레이트
    큐레이트의 기록
    큐레이트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96)
      • 국내여행 (37)
        • 애견여행 (33)
        • 맛집여행 (2)
      • 프로그래밍 (88)
        • C# (24)
        • Python (27)
        • Flutter (5)
        • .NET (4)
        • ASP (7)
        • Next.js (3)
        • Html (5)
        • Tomcat (2)
        • typescript (3)
        • etc (8)
      • 일상생활 (71)
        • 다이어트일지 (70)
        • 기타 (1)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복이랑스마트스토어
    • 복이랑블로그
  • 공지사항

    • 블로그 소개
  • 인기 글

  • 태그

    다이어트 일지
    파이썬
    다이어트
    HTML
    애견동반
    일상생활
    제주도애견동반여행
    식단
    운동일지
    애견동반여행
    iis
    FastAPI
    DevExpress
    국내여행
    웹개발
    오운완
    C#
    다이어트일지
    식단관리
    티스토리챌린지
    제주도
    오블완
    헬스
    자동매매
    애견여행
    자동화
    체중기록
    pt
    Python
    Flutter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큐레이트
[Flutter] 상태관리 뭐 써야 할까? Provider vs Riverpod vs BLoC 비교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